본문 바로가기
똥손교육

비건VEGAN 그것이 알고싶다

by 똥손댁 2023. 7. 1.
반응형

 
 
 

 


오늘은 비건에 대해서 알아볼건데요 많이들 들어 보셨을 거에요 비건 도대체 뭐길래 비건 비건 하는걸까요? 채식주의는 알고 있지만 비건도 채식주의일까요? 그에 대한 궁금증을 해소하고자 비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세계채식연맹IVU에서는 채식주의자를 유기도물은 물론 바다나 강에 사는 물고기도 먹지 않는 사람들 단 우유나 계란은 취향대로 섭취할 수 있고 안 할 수도 있다 라고 정의합니다 따라서 채식주의자는 무엇을 먹고 먹지 않느냐에 따라 다음의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채식주의자의 유형

프루테리언FRUITARIAN 극단적 채식주의자로 채식 중에서도 과일과 견과류만 허용합니다 이들은 식물의 뿌리와 잎은 먹지 않고 그 열매인 과일과 곡식만 섭취합니다
 
비건VEGAN 완전 채식주의자로 육식을 모두 거부합니다 즉 육류와 생선은 물론 우유와 동물의 알. 꿀 등 동물에게서 얻은 식품을 일절 거부하고 식물성 식품만을 먹습니다
 
락토 베지테리언LACTO-VEGETARIAN 육류와 어패뉴 동물의 알은 먹지 않고 우유. 유제품, 꿀은 먹는 채식주의자
 
오보 베지테리언OVO-VEGETARIAN 육류.생선.해물.우유.유제품은 먹지 않지만 달걀은 먹는 채식주의자
 
락토오보 베지테리언LACTO-OVO-VEGETARIAN 채식을 하면서 달걀 이나 우유.꿀처럼 동물에게서 나오는 음식은 먹는 채식주의자
 
페스코 베지테리언PESCO-VEGETARIAN 채식을 하면서 유제품.가금류의 알. 어류는 먹는 채식주의자
 
폴로 베지테리언POLLO VEGETAIAN 채식을 하면서 우유. 달걀. 생선.닭고기까지 먹는 준채식주의자
 
플렉시테리언FLEXITARIAN 재식을 하지만 아주 가끔 육식을 겸하는 준채식주의자
 

 
 

최근 비건 제품 전성시대 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비건 식품에 대한 인기가 많지만 정작 정확히 무엇인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식품에서 말하는 비건은 무엇을 말하는지 어떤 원재료를 사용해서 만들어진 제품을 말하는 건지 비건 식품의 정의에서부터 제조. 관리기준. 표시.광고기준까지 알려드릴게요

🍀비건식품

식품등의 제조. 가동 또는 조리 등 모든 단계에서 동물성 원재료.(식품첨가물. 가공보조제 포함)를 첨가 또는 사용하지 아니하고 동물실험을 하지 않은 식품을 의미합니다

 

🍀사용가능한 원재료

*동물성 원재료는 첨가하거나 사용할 수 없습니다 육류. 어패류. 알류. 우유. 유당. 꿀. 프로폴리스. 밀랍. 제비집 등을 말합니다 
*미생물은 원재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박테리아나 효모. 균류 등은 가능합니다 다만 동물성이 들어간 식품 등에서 배양한 미생물을 사용하였거나 사용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사실을 표시하면 원재료로 사용 가능합니다

 

🍀제조. 관리 기준

*동물성 원재료 혼입 방지를 위해 적절한 예방 조치 및 관리 기준을 수립해야 합니다
*비건이 아닌 제품과 비건 제품을 같은 라인에서 생산하는 경우 생산 전 기계. 장비 등을 세척하고 표준 작업 절차. 방법을 수립해야 합니다
*동물성 원재료를 조리한 기름을 사용하거나 동물성 또는 동물유래물질을 이용하여 정제나 여과해서는 안됩니다
 

🍀비건VEGAN 표시.광고 가능

 *식품의 비건 표시. 광고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는 이렇게 확인하세요
식품안전나라 누리집www.foodsafetykroe.fo.kr>식품 안전식품표시광고>식품표시광고FAQ
*표시.광고한 자는 자기가 한 표시 또는 광고에 대하여 실증할 수 있어야 합니다
 
 
 

🍀비건의 장단점

MZ세대를 중심으로 부각되는 친환경. 동물 복지 등 이슈가 식물성 식품 시장을 키우고 있습니다 육류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축산용 공장 시설로 인한 환경 파괴 등을 막기 위해 대체육을 선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딜로이트 그룹은 최근 지후 우기로 부상한 대체식품고 푸드테크 리포트를 통해 식물성 대채육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친환경 시멘트의 3배 친환경 건물의 7배 전기 자동차 등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차량의 11배 이상에 달한다고 분석한 바 있습니다
영양과 안전성 면에서는 어떨까요 대체육은 조류독감이나 아프리케 퇘지열병 등 가축의 전염병 위험성에서 자유롭고 수급에도 문제가 업다는 장접이 잇습니다 현재 식물성 식품의 건강상 우려는 가공에서 나옵니다 육류의 맛과 식감을 내기 위해 가공처리를 하기 때문입니다 다만 진짜 고기와 비교할 것이 아니라 고기로 만든 가공식품과 비교해야 한다는 반박도 있습니다 주원료가 되는 콩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단백질에 부정적인 영향이 가지는 않지만 가공식품의 특성상 나트륨 함량이나 칼로리가 무조건 낮은 것은 아니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겠습니다
 
 
 
 

반응형

'똥손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함익병 돈두댓-하지마 먹지마 오지마  (36) 2023.07.02
바세린 발라도 될까?  (0) 2023.07.02
혹시 약물 오남용..?  (26) 2023.06.28
필기구 추천템😎  (29) 2023.06.27
주는대로 받는거지😎  (23) 2023.06.16

댓글